2017학년도 고려대 과학인재전형의 면접이 10월 29일(토)에 실시됩니다.
고려대는 올해 과학인재전형을 통해 281명 내외를 선발합니다. 평가방법은 단계별로 1단계 서류 100%(5배수 선발, 단 사이버국방학과는 3배수내외), 2단계에는 1단계 성적 70% + 면접 30%(사이버국방학과는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% + 면접 20% + 기타 20%(군면접 + 체력검정))가 반영됩니다.
면접의 형태는 2인 이상의 면접위원이 실시하며, 기본역량과 과학인재로서의 발전가능성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평가하게 됩니다.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되지 않습니다.
아래에 제시되는 문제는 고려대 입학처에서 공개한 2016학년도 고려대 과학인재전형의 면접기출문제입니다.
▣ 고려대 과학인재 면접기출(오전문제)
(가) 그림과 같이 원주 위에 서로 다른 네 점 A, B, C, D가 있다. 철수는 앞면이 나올 확률이 p , 뒷면이 나올 확률이 1-p 인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시계방향으로, 뒷면이 나오면 반시계방향으로 원주 위의 인접한 점으로 이동한다. A에서 시작하여 동전을 2n번 던진 뒤 철수가 점 A, B, C, D에 있을 확률을 각각 an, bn, cn, dn이라고 하자. 단, n은 자연수이다. (나) 우리는 위험한 작업, 자동차 조립, 복강경 수술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로봇을 유익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. 한편, 사람의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이 등장하여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. 최근 2만 명이 일하던 중국의 한 공장에 로봇을 투입하면서 근로자의 수가 100여 명으로 줄었다고 보도되었다. 이렇듯 로봇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. |
1. 제시문 (가)를 읽고 an + dn을 구하시오.
2. 제시문 (가)에서과
의 관계를 구하고, 이를 이용하여 an = cn 이 되는 p를 모두 찾으시오.
3. 제시문 (나)를 읽고, 유익한 목적으로 자신이 개발할 과학적 연구 결과물이 사회적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할 때 본인은 어느 쪽의 입장에 설 것인지와 그 이유를 제시하시오.
▣ 고려대 과학인재 면접기출(오후문제)
(가) 참인 명제 A와 참인지 거짓인지 모르는 명제 B가 있다. • 명제 A: 서로 다른 두 실수 사이에 유한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. • 명제 B: 실수 a 보다 작은 임의의 유한소수가 실수 b보다 작으면 a ≦ b 이다. (나) 순환소수 (다) 1974년 과학자 서머린은 흰 쥐의 피부 일부를 검게 칠하고 마치 검은 쥐의 피부를 이식한 실험에 성공한 것처럼 발표하였다. 이 사건은 미국에서 대중적 주목을 끌었던 데이터 조작 사례로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. |
1. 제시문 (가)의 명제 A를 활용하여 명제 B가 참임을 보이시오.
2. 제시문 (가)의 명제 B와 제시문 (나)를 활용하여 임을 보이시오. (단, 등비수열의 합의 공식은 사용할 수 없다.)
3. 제시문 (다)의 예와 같이 과학자가 연구부정을 저지르게 되는 이유를 개인적인 인성과 사회적 분위기의 측면에서 생각해보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안하시오.
이상으로 고려대의 과학인재전형의 면접기출문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면접준비를 잘해서 자신이 목표로 하는 학과에 합격하기를 바랍니다.
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.
♤♤ 필독하세요 ♤♤
아래의 링크자료에는 면접의 종류(기본소양및인성면접, 전공적성면접, 집단토의, 심층/구술면접)와 대비법, 면접시 공통유의 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안내하고 있습니다.
잘 읽어 보시고 각 학교별 면접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.